현재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중인데 거기에서는
이전 프로젝트와는 다르게 GitLab 을 사용중에 있다.
깃랩과 깃허브 둘다 저장소라는 것과 연동방식이 같다는 점에서 크게 차이점은 없지만,
커밋 방식에는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듯 하다.
깃허브 커밋/푸쉬 방식은 이전에 작성해둔 아래 링크 참고
[Git Hub] 이클립스 깃허브 연동 및 커밋
추후 이클립스를 바탕으로한 프로젝트 시 이클립스를 깃허브에 커밋할 일이 많이 있을 것 같아서 따로 블로그에 저장해둔다. 아래 링크가 찾았던 블로그들 중에서 가장 정리가 잘 되어 있어 추
snepbnt.tistory.com
깃랩 커밋 방법은 아래와 같다
참고로 Git Repositories 를 찾기 어려운 사람은 이클립스 우측 상단에 있는 Quick Access 창을 통해 서치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.

1. Git Repositories 에 들어가서 push 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오른쪽 클릭을 한다.

2. 그 다음 Remote - Push 를 클릭한다.

3. Next 버튼을 누른다음

4. Add All Branches Spec 버튼을 클릭하고 Finish 를 누르면,

5. 깃 랩 저장소로 push 가 완료가 된다

그 이후 내가 사용하고 있는 깃랩에 가서 확인을 하면

push 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참고링크
GITLAB - STS(이클립스)연동하기[1]
GitLab GitLab은 Git의 원경 저장소 기능과 이슈 트래커 기능들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. GitHub와 비슷한 면이 많이 있다. 간단한 GitLab 사용방법(STS와 연동하기 위해) GitLab 계정이 있다면 로그인, 없으
ratseno.tistory.com
'Data Engineering > 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깃허브 설치파일 다운로드 (0) | 2021.01.28 |
---|---|
[Git] git hub 리포지토리삭제하기 (0) | 2021.01.28 |
[ Git ] Git conflict (충돌) 처리하기 (0) | 2020.12.23 |
[Git Hub] Not a git repository (or any of the parent directories) 에러 (0) | 2020.10.05 |
[Git Hub] 이클립스 깃허브 연동 및 커밋 (0) | 2020.08.26 |